지역농협 계좌번호 조회 구분 방법
🧾 2025년 기준 지역농협 계좌 조회 총정리
농협 계좌를 쓰다 보면 가끔 "이게 NH농협은행인지, 지역농협인지?" 헷갈리는 순간이 생기죠.
특히 계좌번호만으로 구분하는 법이나, 앱·인터넷에서 내 계좌의 소속을 확인하는 팁은 꼭 알고 있으면 유용합니다.
이 글에서는 2025년 최신 정보를 바탕으로 지역농협 계좌를 확인하는 모든 방법을 정리해드릴게요.
👇 아래 내용만 따라오시면 혼동 없이 정확하게 파악하실 수 있습니다.
✅ 지역농협이란?
우리가 흔히 말하는 농협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.
- NH농협은행: 전국 단위 운영, 법인명에 '은행' 포함
- 지역농협(단위농협): 지역별 독립 운영, 지점명에 'OO농협' 형태
같은 농협 브랜드지만 운영 주체가 다르고, 예금 보호도 개별 적용된다는 차이점이 있어요.
🔍 계좌번호로 구분하는 팁
▶ 과거 계좌번호 (예: 000000-51-000000)
- 중간 숫자가 51, 52, 55, 56이라면 지역농협 계좌입니다.
▶ 현재 계좌번호 (예: 351-0000-0000-00)
- 앞자리 351~356, 384로 시작하면 대부분 지역농협에서 발급한 계좌
- 351: 입출금, 352: 적금, 355: 법인 등으로 세분화됨
반면 NH농협은행은 301, 302, 312번대 계좌를 사용합니다.
🏦 지점명으로 쉽게 구별하는 법
- NH농협은행: 'NH농협은행 OOO지점' → 이름에 '은행' 포함
- 지역농협: 'OO농협 OOO지점' → '은행'이라는 단어 없음
지점명만 봐도 어떤 계열의 농협인지 알 수 있습니다.
📱 앱을 활용한 조회 방법
▶ NH콕뱅크
- 지역농협 전용 앱
- ☰ → ‘뱅킹’ → ‘조회’ → 전계좌 조회 선택
▶ NH스마트뱅킹
- 농협 전체 계좌(은행+지역농협) 확인 가능
- ‘조회’ 메뉴에서 전계좌 확인
▶ NH올원뱅크
- 모든 NH계좌 일괄 조회 가능
💻 인터넷/기타 서비스로도 확인 가능
- 농협 인터넷뱅킹: 로그인 후 전계좌 조회
- 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 (Account Info): 모든 금융사의 계좌 한눈에 조회
- 토스/카카오뱅크 등 오픈뱅킹: 인증 후 지역농협 계좌도 추가 가능
☎ 기타 확인법
- 고객센터:
농협은행 1661-3000 / 지역농협 1661-2100 - ATM에서 체크카드 삽입: 계좌번호 확인 가능
- 지점 직접 방문: 신분증만 있으면 조회해줍니다
- 통장 표지: '농협'만 있을 경우 지역농협 가능성 ↑
📌 계좌 확인 시 주의할 점
- 2009년 이후: 일부 계좌는 통합 시스템 적용으로 구분 어려움
- 예금자 보호: 농협은행/지역농협 각각 5천만 원까지 보호
- 휴면계좌: 일정 기간 거래 없으면 자동 휴면 처리됨
🧠 한눈에 보는 지역농협 계좌 확인법 요약
항목 | 확인 포인트 |
---|---|
계좌번호 | 351~356 또는 중간번호 51~56 → 지역농협 |
지점명 | '은행'이 없으면 지역농협 |
앱 | NH콕뱅크, 스마트뱅킹, 올원뱅크로 조회 가능 |
인터넷 | 농협 인터넷뱅킹, Account Info 이용 |
기타 | 고객센터, ATM, 지점, 통장 표지 확인 |
📝 마무리 요약
계좌번호만 봐도 대부분 지역농협 여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.
더 정확하게 알고 싶다면 NH계열 앱, 인터넷뱅킹, 통합 계좌조회 서비스를 활용해보세요.
💡 이제는 계좌번호 앞자리를 보면 "이건 지역농협이구나!" 하고 바로 알 수 있겠죠?